2019년 개봉한 영화 '조커(Joker)'는 코믹스 기반의 슈퍼빌런을 다룬 작품이지만, 동시에 현대 사회의 병리와 개인의 심리 붕괴를 사실적으로 그려낸 강렬한 드라마입니다. 특히 주인공 아서 플렉이 겪는 정신적 고통, 사회적 소외, 폭력의 누적은 인격장애의 발현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영화 속 아서를 '병리적 대상으로 볼 것인가', ' 현대인의 고립과 상실을 투영한 거울로 이해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조커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고, 그것이 현대 사회 시스템 붕괴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아서 플렉의 인격장애와 심리분열의 전조
아서 플렉은 영화 초반부터 다양한 정신적 문제를 겪고 있는 인물로 묘사됩니다. 그는 강박적 웃음 증세를 지닌 신경계 질환 환자로, 감정과 무관하게 웃음이 터져 나오는 ‘부적절한 정서 표현’을 보입니다. 이는 '표현형 정서장애(Pseudobulbar affect)'나 감정 표현장애와 유사한 증상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외상 후 발생하거나, 신경학적 질환과 관련이 깊습니다.
그러나 아서의 문제는 단순한 신체 질환에 머물지 않습니다. 그는 '조현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와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의 특성을 함께 보입니다.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혼동하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며, 반복되는 외부 자극에 대한 과도한 감정 반응을 보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이웃 여성 소피와의 관계를 자신의 환상 속에서만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착각한 장면입니다. 이는 '망상(delusion)'과 분열형 사고의 결합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입니다.
또한 아서는 일관된 자아 정체성이 결여된 상태로 묘사됩니다. 그의 웃음, 분노, 슬픔은 감정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채 불연속적으로 발현되며, 이는 '감정조절장애(EIDD)'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받지 못한 그는, 끝내 가면을 쓰고 ‘조커’라는 자아를 새롭게 창조합니다. 이 변화는 단순한 각성이 아닌, '병리적 자기 구성(self-construction)'의 결과입니다.
아서가 폭력으로 치닫게 되는 결정적 계기 역시, 반복된 무시와 상실입니다. 직장에서 해고되고, 정신과 치료는 예산 삭감으로 종료되며, 어머니의 학대 사실을 알게 되면서 그가 붙잡고 있던 마지막 ‘정상성의 끈’이 끊어지는 구조입니다. 즉, 그의 인격장애는 선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방임과 구조적 폭력의 결과로 발현된 후천적 병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담시의 사회 붕괴와 조커의 등장 분석
조커가 탄생하는 무대인 고담시는 자본 불균형, 복지 축소, 혐오 정서, 미디어 조롱, 제도 붕괴 등 현대 도시의 위기 징후를 집약한 배경입니다. 이 공간에서 조커는 단순한 범죄자가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상징적 괴물로 나타납니다.
고담시 정부는 복지 예산을 삭감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상담과 약물 지원도 중단합니다. 이는 실제 현실에서 수많은 사회 문제를 야기한 ‘신자유주의 정책’과 유사합니다. 아서는 이 시스템 속에서 점점 밀려나며, 결국 사회적 존재에서 고립된 인간이 됩니다. 그는 사회의 ‘타자’가 되고, 타자는 끝내 사회를 공격하는 구조를 가집니다.
고담 시민들 역시 혼란에 빠져 있습니다. 부자 토마스 웨인의 엘리트주의 발언은 대중의 분노를 폭발시키고, 시위와 폭동이 발생합니다. 이때 조커가 지하철에서 3명의 부유한 남성을 살해하는 장면은, 단순한 자위가 아닌 계급적 폭력의 기폭제로 작용합니다. 마치 그가 대중의 분노를 대변하는 상징이 된 듯, 이후 그의 마스크는 ‘저항의 아이콘’으로 변모합니다.
여기서 영화는 중요한 사회학적 메시지를 던집니다. “사회가 인간을 괴물로 만들었는가, 아니면 괴물이 사회를 망가뜨리는가?” 이는 현대 사회에서 반복되는 혐오 범죄, 정신질환자에 대한 낙인, 구조적 차별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영화 속 언론과 코미디쇼는 조커를 조롱하고, 그를 소비의 대상으로만 취급합니다. 모레이 프랭클린 쇼에 출연한 조커는 생방송 중 살인을 저지르며, 폭력을 극단적 자기표현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개인 심리 붕괴의 절정이자, 사회가 만든 괴물의 복수극으로 해석됩니다.
인격장애의 사회적 의미와 영화의 윤리적 질문
조커는 단순한 ‘악인의 기원’ 서사가 아닙니다. 그것은 정신질환을 가진 개인이 사회로부터 어떤 대우를 받는가, 폭력은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공감 없는 체계는 무엇을 낳는가라는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 영화입니다.
아서 플렉은 초기부터 도움을 요청하지만, 체계는 그를 외면합니다. 정신과 상담사조차 기계적 대화만 반복하며, 공감 없는 상담은 치료가 아닌 행정 절차에 불과합니다. 그의 상태를 알고도 무관심했던 의료 시스템과 복지 구조는, 비윤리적 사회의 축소판입니다.
아서의 인격장애는 진단명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산물이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그는 ‘괴물’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공감받지 못한 존재가 끝내 자기를 비인간적으로 전환시킨 결과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그를 심리적으로 파괴하면서도 동시에, 그에게 처음으로 ‘존재감’을 부여합니다. 그가 무대에서 춤을 추며 웃고 있을 때, 그것은 기쁨이 아니라 비극의 발화이자, 병든 사회에 대한 풍자입니다.
영화는 관객이 조커에게 공감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악인을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악이 발생하는 시스템과 그 과정을 이해하라는 메시지로 나타냅니다. 현대 사회의 비정함, 복지 해체, 고립, 조롱 문화는 아서를 ‘조커’로 만들었고, 그것은 단지 영화 속 이야기만이 아닌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현실이기도 합니다.